리더 십(Leadership). 리더 십(Leadership). Leadership에는 대별해서 화합의 의한“和合형 Leadership”과 추진력에 의한“推進力형 Leadership”이 있다. Leadership이란 말을 자주 듣고 쓰는 말이라 생소하지 않은 단어이나, 실제에 있어 생각하면 저어기 어려운 말이고 실천하기란 더욱 어려운 일이다. 우리나라는 대통령을 위시한 여.. 문학 . 사상 2010.03.05
말과 미더움. 말과 미더움. 우리 옛 시조 한 구절 중에,“말로서 말 많으니 말 많은가 하노라”는 구절을 읽고 나면 누구나 마음에 느끼는 바가 많을 것이다. 이 시대는 복잡다난한 세상이라 할 말만 하고도 잘 못사는 세상인데, 왜들 그리도 말이 많은지 이해가 되지 않을 때가 참으로 많다. 우리가 하는 말은 한번 .. 문학 . 사상 2010.03.04
교육천국을 그리며(2). 교육천국을 그리며(2). 우리의 公敎育의 문제점을 한번 되돌아보자, 첫째. 글로벌(Global,세계)화에 따른 영어교육 문제, 金영삼 정부시절부터“世界化(Globe)”라는 말이 대중들에게 파고들게 되었으며, 급격하게 세계시장은 하나가 되어가고 있음에도, 우리사회는 대책 없이 영어조기교육의 필요성과 .. 문학 . 사상 2010.03.03
교육천국을 그리며(1). 교육천국을 그리며(1). 우리는 敎育革命을 통하여 敎育天國을 꿈꾸며 나라의 富와 未來의 번영은, 科學技術과 敎育에 의한 人才養成에 있다는 기본적인 認識과 哲學을 가진 위정자들이 많이 나와서 교육문제를 진실하게 인식하였으면 한다. 그러나 公敎育 붕괴로 무너지고 있는 우리 사회에 isue를 던.. 문학 . 사상 2010.03.02
[스크랩] 呂氏鄕約(여씨향약)과 月會堂(월회당). 月會堂 呂氏鄕約(여씨향약)과 月會堂(월회당). 月會堂 전경 大邱에서 가까운 星州군 碧珍(벽진)면 樹村(수촌)里(海平里.1990.4월 행정구역 명칭변경)의 下樹村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鹽田鄕約(염전향약.呂氏鄕約)의 실행과 후진에게 경학(經學)과 의례의 법을 강(講)하기 시작한 수촌리에는 月會堂을 .. 문학 . 사상 2010.03.01
[스크랩] 참 인연(因緣) 사랑과 믿음이 가득한 내 가슴이 너를 부를 때, 가족 여러분께 부처님의 가피가 만당하시길 기원합니다. 참 인연(因緣). 인연이란 무엇인가? 무엇이 인연인가? 무엇이 인연인가를 되 뇌이면, 시간이 흘러도 확연한 答이 없고 空한 가슴에 물음에 대한 메아리의 여운만 남아있다. 어느 날 절에 와서“참 .. 문학 . 사상 2010.03.01
[스크랩] 佛家의 중요한 公案, 줄탁동기(啐啄同機)와 인연. 佛家의 중요한 公案, 줄탁동기(啐啄同機)와 인연. 줄탁동기(啐啄同機)는 원래 중국의 민간에서 쓰던 말로서, 임제종(臨濟宗)의 공안집(公案集.話頭集)이자 禪宗의 대표적인 佛書인 宋나라 때의 벽암록(碧巖錄)에 公案으로 등장하면서 佛家의 중요한 公案이 되었다. 公案은 話頭라고도 하.. 문학 . 사상 2010.03.01
[스크랩] 대략(大略)과 소략(小略). --> 대략(大略)과 소략(小略). 법가-한비자. 유가-공자. 묵가- 묵지 사람의 삶은 사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아니고 어떻게 사는 여가 중요한 문제라는 것과 지금 어떠한 인생을 살아가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꼬리를 물고 일어나는 그믐 눈썹달이 있는 이 새벽에 따뜻한 녹차 한잔은 청량제가 되어 훈훈한 .. 문학 . 사상 2010.03.01
[스크랩] 佛 家 不 二(불가불이). 佛家不二(불가불이). 간월도 사찰에서는 해마다 음력 4월 8일, 부처님 오신 날이 가장 큰 행사이며, 이를 필두로 지장재일 관음재일 신중기도 참선 등 여러 행사로 분주하며, 어느 절이라도 예외는 아니라, 관계 도반님들의 노고도 이루 말할 수 없다. 어느 절이라도 도반님들 중 거사님 보다, 보살님이 .. 문학 . 사상 2010.03.01
[스크랩] 爲政者(지도자)의 기본자세. 爲政者(지도자)의 기본자세. 姜太公(姜尙=呂尙)과 조어대 위정자의 기본자세에 관하여, 옛 선인들의 가르침들 중에,“장자 칙양(莊子 則陽)”에서, 古之君人者, (고지군인자) 以得爲在民, (이득위재민) 以失僞在己, (이실위재기) 以正爲在民, (이정위재민) 以枉爲在己. (이왕위재기) 즉,“ 옛날 임금 된 .. 문학 . 사상 2010.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