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말은 듣기가 싫다(忠言逆耳). 좋은 말은 듣기가 싫다(忠言逆耳). 국가나 사회, 조직이 건강성을 유지하려면 무엇이 가장 필요할까. 다양한 여론, 자유로운 언로의 보장이 아닐까. 건강한 비판이 사라지게 된다면 그 사회는 암울의 길로 접어들게 될 것이다. 사람은 간언하는 정직한 충고는 귀에 거슬리나 행동하는 대는 이로운 것이.. 문학 . 사상 2009.04.27
佛敎에서 6根 중, 귀(耳)와 눈(眼). 佛敎에서 6根 중, 귀(耳)와 눈(眼). 우리 사람에게는 대상을 인식하는 주관적 感覺器官(감각기관)으로, 눈.귀.코.혀.몸.생각(眼.耳.鼻.舌.身.意)등의 6 감각기관이 있다. 이를 불교에서는 모든 인식의 뿌리인 6根(6處.6入)이라 말하며, 그 대상으로 색.성.향.미.촉.법(色聲香味觸法)등 6境(6賊.6塵)이 있다. 사.. 문학 . 사상 2009.04.25
佛家의 중요한 公案, 줄탁동기(啐啄同機)와 인연. 佛家의 중요한 公案, 줄탁동기(啐啄同機)와 인연. 줄탁동기(啐啄同機)는 원래 중국의 민간에서 쓰던 말로서, 임제종(臨濟宗)의 공안집(公案集.話頭集)이자 禪宗의 대표적인 佛書인 宋나라 때의 벽암록(碧巖錄)에 公案으로 등장하면서 佛家의 중요한 公案이 되었다. 公案은 話頭라고도 하는데, 깨우침.. 문학 . 사상 2009.04.20
병호시비(屛虎是非)와 左와 右의 의미. 병호시비(屛虎是非)와 左와 右의 의미. 虎溪書院과, 西厓 선생(上) 과 鶴峰선생(下) 安東의 儒林사회에서 400년간 이어져 온 논란으로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과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의 위패를 왼쪽에 모실 것이냐, 아니면 오른쪽에 모실 것이냐의 문제를 두고. 양쪽 제자들 간에 벌어진 논쟁이 .. 문학 . 사상 2009.04.11
높이 나는 새. 높이 나는 새. 사람이나 동물이나 위로 높이 갈려는 上志向的인 생각과 행위는 유사 한가 보다. 사람은 생각의 연유에서 산도 높은 곳을, 물도 깊은 대양으로, 지위도 높은 자리로 등 가고자 하는 생각과 행위를, 동물들도 본능적으로 새는 높이 날아오르려 하고, 짐승들은 약육강식의 세계에서 먹이사.. 문학 . 사상 2009.04.11
법우(法友). 법우(法友). 우리가 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自意던 他意던 만나게 되는 사람과; 사람의 因緣관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부처님의 교훈에도 친구의 관계를 매우 중시하였으며 좋은 친구를 善知識(선지식), 나뿐 친구를 惡知識(악지식)이라하고, 좋은 친구를 사귀면 훌륭한 向上.. 문학 . 사상 2009.04.06
삶에서 판단은 중요하다. 삶에서 판단은 중요하다. 사람이 한 生을 살아가면서, 옳고 그름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옳은 것은 계속적으로 지키고 북돋아 나가며, 그른 것은 그때그때 이를 확인해 바로 바로 고쳐 나가는 것이 미래지향적 삶의 한 방편이며 태도이다. 그러나 자기는 언제나 옳고 남은 무조건 그르다고 생각한다면, .. 문학 . 사상 2009.04.04
입(口)과 몸(身). 입(口)과 몸(身). 업(業) 우리 佛敎에서는 사람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바르게 보고. 바르게 생각을 하고. 바르게 말하고. 바른 행동을 하고. 바른 생활을 하고. 바른길로 가고. 바른길을 생각하고. 바르게 정신통일 하여, 中庸의 道를 行하는게 實踐德目이며 올바른 生活態度라고 한다. 즉, 佛敎에서 말하.. 문학 . 사상 2009.03.31
先賢의 가르침이 주는 敎訓. 先賢의 가르침이 주는 敎訓. 올해는 민주화 이후 20년 남짓의 그 중요한 시기에 위정자들의 잘못으로 허송세월한 이 나라와 국민들의 방황과“잃어버린 10년”이라는 지난 시간들이 아쉬운 나날들을 종지부를 찍는 해이다. 나라를 바로 세우고 사회기풍을 새롭게 하고 선진국대열에 진입할 개혁을 체.. 문학 . 사상 2009.03.28
소문과 유언비어(流言蜚語). 소문과 유언비어(流言蜚語). 성철 스님과 염주. 살다보면 우리는 별의별 소문을 듣는다, 그리고 소문은 또 참으로 빠른 속도로 전파되어 퍼져 나간다. 그러기에 우리나라 속담에도,“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는 표현을 우리는 어릴 때부터 들어 잘 알고 있는 일이다. 소문은 그것이 확실한 근거가 .. 문학 . 사상 2009.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