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하숙생 / INDRA(인드라)스님 . 노래에 법향을 싣고 INDRA(인드라)스님 노래: 하숙생 ☆마우스를 화면에 대고 투크릭 하시면 전체 화면을 보실수 있습니다.☆ . 불교 2009.11.25
법정(法頂) 스님 글 중에서 법정(法頂) 스님 글 중에서 중년의 삶 친구여 나이가 들면 설치지말고 미운소리, 헐뜯는소리 그리고 군소리, 불평일랑 하지를 마소 알고도 모른척. 모르면서도 적당히 아는 척, 어수룩하소 그렇게 사는것이 평안하다오 친구여 상대방을 꼭 이기려고 하지마소 적당히 져 주구려 한걸음 물러서서 양보하.. 불교 2009.09.24
誓 願 (서원). 誓 願 (서원). -나의 아침예불 발원문에서- 위없는 큰 님 이시여, 미혹한 衆生이 혼돈의 세월을 살아가면서 貪慾.瞋恚.愚癡, 三毒煩惱의 罪를 입어, 無名衆生으로 戒.定.慧, 三學의 가르침을 깨달지 못하여 上求菩提 下化衆生의 마음을 얻어 가질 수 없사오니, 無量한 慈悲를 내려 주셔서 큰 님의 큰 말.. 불교 2009.09.22
애별이고(愛別離苦). 애별이고(愛別離苦). 우리 사람은 태어나서 살아가다보면, 만나면 해어진다(會者定離)는 게 자연의 순리요 법칙이다. 우리가 만난다는 것은 중요한 因緣이지만, 해어진다(離別)는 것 또한 인연으로 생기는 고통스러움을 마음에 남겨 두는 악연인 것이다. 우리가 해어짐에도 여러 형태로 우리 앞에 알.. 불교 2009.09.18
혜원-도연명-육수정 과 호계삼소(虎溪三笑). 혜원-도연명-육수정 과 호계삼소(虎溪三笑). 中國 故事에서 취제한 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로, 호계는 중국의 여산(廬山)에 있는 계곡으로 여산기(廬山記)에 유천(流泉), 즉 절을 돌아서 내려와 호계(虎溪)에 들다 라고 하였는데, 여산(廬山)의 동림사(東林寺)에 고승 혜원(慧遠)이 은거하면서, 후시(虎.. 불교 2009.08.13
삶(人生), 삶(人生), 世間에 태어날 때 因緣은 眞率한 기쁨의 緣起이나 흙으로 돌아가는 때 因緣은 아픈 別離의 緣起이니 人間事 生死 苦樂 부처님의 生死 世世萬萬法 일세. 부모님 성불하소서._()_ 아침禮佛하면서 父母님 생각을 하며, 兒孩 光世 合掌拜. Ps. *世間(세간); 영원하지 않은 것들이 서로 모여 있는 .. 불교 2009.07.30
부 처 님. 부 처 님. 님은 누구 이 십니까, 멀리도 가까이도 아닌, 중생의 마음에 자리하신 큰 님 이십니다, 항상 중생을 자비심으로 살피시고 지켜주시는 큰 님 이십니다. 님은 누구 이 십니까, 중생이 생각만 하여도, 空의 모습으로 다가오시는 광명이신 진리당체 그 자체 큰 님 이십니다, 중생은 생각을 하면, .. 불교 2009.07.13
三 業 과 六波羅蜜. 三 業 과 六波羅蜜. 마곡사 부처님. 욕망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가득 찬 사바세계에 태어나 가름할 수 없는 미혹한 중생은 아득한 먼 옛날부터 지어온 모든 악업으로 탐.진.치(貪瞋癡),삼독(三毒)의 마음으로 무거운 번뇌(五鈍使) 일어나 신.구.의(身.口.意), 삼업(三業)을 지어메, 거룩한 부처님께 귀의.. 불교 2009.07.11
부처님께서 말씀하는‘眞理’란?. [객원칼럼 벽진] 부처님께서 말씀하는‘眞理’란?. 우리도 무심코 밤하늘을 처다 보다가 별을 보고 생각에 잠기거나 순간 무엇을 느끼는 때가 더러 있습니다만, 그런데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어느 날 새벽 때, 별을 보고 깨달음을 얻으셨다고 하는데, 이것이 같은 별을 보고도 우리 보통 사람과 다른 .. 불교 2009.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