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원칼럼 벽진]
朴근혜, 여론조사 차기 대통령 부동의 1순위.
- 朴희태 대표, 親朴 project 탄력 -
한나라당 李경재 의원은 朴근헤 전 대표의 一擧手一投足이 언론의 초점을 받고 있는데, 불필요한 갈등을 조장하지 않기 위하여서는 침묵하는 수밖에 없다며 여권쇄신론에 대한 朴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침묵과 관련하여, 오히려 침묵하면서 도와주는 게 옳게 도와주는 것이라며 생각하기에 때가 되면 결정적으로 나서는 방법도 있을 것이라며, 그는 黨 쇄신책의 하나로 거론되는 조기전당대회 개최에 대하여서도 黨內 역학관계를 변화시켜 분란만 자초하는 위험이 있다고 부정적이었다.
그리고 李경재 의원은 黨內 和合을 위한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간의 同伴者 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한 후, 4.29 재.보선 때 慶州의 경우 공정하게만 공천하였다면 자연스럽게 두분의 관계는 풀리고 화합하였을 것이라며 서 4.29 공천은 小貪大失이라고 비판도 하였다. 또 그는 洪준표가 朴 전 대표가 경선 이후 패자의 길로 가야 하였는데 그렇지 않았다고 비판한데 대하여, 불만이 있어도 원내정책에 반대하거나 거꾸로 간 것이 전혀 없다면서 무엇을 뜻하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지난 18대 총선 후 복당한 親朴 의원을 당협위원장에 앉히는 문제는, 그동안 親李와 親朴 사이에 신경전을 벌여온 사안이었기 때문에 양 계파간 정면충돌로 비화할 소지마저 있었는데, 黨 최고위원회의 결정으로 親朴계 복당의원 18명이 당원협의회(당협)조직위원장으로 임명되면서 당내 계파 갈등이 한 숨을 돌리는 분위기인 것 같다.
신임 張광근 사무총장은 親李-親朴 간 마찰을 빚고 있는 당협위원장 교체 문제와 관련하여, 개인적 생각으로는 順理와 常識에 따라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하며, 당협위원장 교체 문제를 언제까지 미뤄둘 수는 없다고 하였는데, 그는 원래 한쪽으로 추가 기울면 다른 한 쪽이 마음 아파하는 것이라면서 정치적 선택에 따른 아픔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깊은 고민이 있어야 한다고 하자, 이 발언을 두고 일각에선 黨 지도부가 당협위원장을 院外가 아닌 現役의원 쪽으로 정리하려는 것 아니냐는 관측에 그간 무게를 두고 있었다.
문제는 18대 총선 공천에서 낙천한 일부 親朴 인사가 탈당하고 출마하여, 당선된 뒤 복당한 지역에서는, 親朴은 현역의원이 당협위원장을 맡는 것은 정치권의 관행에 따라 복당한 親朴의원이 임명돼야 한다는 입장이었던 반면에, 親李측은 대부분 親李인 기존 당협위원장의 권리도 인정해야 한다고 맞서므로, 차기 당협위원장을 누가 맡느냐를 놓고 그동안 親李-親朴간에 첨예하게 대립하여 왔었다.
생각하면 당협위원장 자리는 정치적 자기 기반을 닦을 수 있고, 2010년 지방선거 공천에서도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자리인데도, 별다른 대립 없이 親朴 복당 의원의 당협위원장 진출로 가닥이 잡은 이유는 黨이 政治權의 상식과 순리를 따른 결과로 받아들여지는데, 親朴계로서는 TK와 PK 등 嶺南권의 당협위원장을 거의 장악하게 되엇으며, 전체적으로 親李-親朴 당협위원장의 비율이 비슷한 분포를 보이는 수준에까지 올라섰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親朴 측은 黨 최고위원회의 결정을 환영한다며 앞으로 黨 化合을 위하여 더욱 노력하겠다고 和答하였으나, 또한 지극히 당연한 일이고 조직이 정상화되는 과정일 뿐이라며 큰 의미를 두지 않았고, 조기전당대회 개최 등 여권쇄신론을 놓고 최근에도 노출된 두 계파의 깊은 갈등과 불신이 해소되려면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게 중론이며 대체적인 시각이며, 한편 이번조치가 親朴이 복당할 때 원내 우선 정책에 의하여 당연하게 주는 것으로, 전임 黨는 받아들이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여권쇄신론이 논의되면서 黨 內外에서는 親朴을 끌어안아 국정협력을 도모하는 근본적 和合책이 무엇일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고, 그래서 李 대통령의 방미 후 개각설이 수그러들지 않는 가운데 과거 제기한바 있는 親朴 人事의 입각 필요성도 이런 차원에서 다시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쇄신론의 핵심인 조기전당대회도 親李-親朴의 和合에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견 되는 가운데, 親朴은 李 대통령과 朴 전 한나라당 대표 간 진정한 和解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양 계파 간 화학적 결합은 힘들다는 반응이다. 그러나 親李와 少壯-쇄신파는 黨의 면모일신과 10월 재.보선 대비를 위하여, 오는 8-9월 전당대회를 선호하는 반면에, 조기전당대회를 반대하여온 親朴 일각은 내년 1-2월 전당대회이라면 생각해볼 수도 있다는 입장이어서 異見 조율이 난제로 남아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차기 대통령으로 적합한 인물을 묻는 질문에 朴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31.4%로 압도적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柳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10.6%의 지지를 받아 2위로 깜짝 등극했으나, 朴 전 한나라당 대표에 가장 적합한 인물로도 꼽혔다.
즉 朴 전 대표는 30%를 상회하던 한나라당 지지도가 故 盧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곤두박질치며, 民主黨에 역전되었어도 2위와 무려 20% 가량의 차이를 내며 차기 대통령 적합도 1위를 유지하므로, 한국일보가 1월 실시한 차기 대통령 적합도 조사에서 29.1%의 지지를 얻었던 것에 비하여, 미미하지만 오히려 지지도가 상승했다는 점이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그러기에 4,29재보선 참패 후 쇄신 논쟁으로 내홍을 겪고 있는 한나라당의 새 代表에 적합한 인물을 묻는 질문에도 朴 전 대표가 39.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번 조사에서 3선의 元희룡 의원이 8.9%로 2위에 오른 것이 이채로웠고, 鄭몽준 최고위원이 7.3%, 洪준표와 안상수 원내대표가 3.7%로 뒤를 이었고, 朴희태 대표는 2.2%, 李재오는 2.0%의 지지에 그쳤다.
지난 4.29 慶州 국회의원 재선거에서 親朴 후보를 표방하며 1군사령관을 역임한 예비역 육군대장 출신으로, 朴 전 대표의 안보특보를 지낸 그는 지난 재선거에서 당선되면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朴 전 대표를 돕겠다며 無所屬으로 출마하여 親李 주류인 鄭종복을 꺽고 당선된 초선 鄭수성 의원이 17일 한나라당에 入黨을 신청했다.
그런데 黨 핵심관계자는 黨 和合이 쇄신 논의의 話頭로 떠오른 상황에서 鄭 의원 입당이 和合의 상징적 조치가 될 수 있다고 보며, 慶北道黨의 심사를 거쳐 7월쯤 입당이 최종 허가될 보이며, 지난 총선공천파동에 이어 慶州 재선거가 親李-親朴간의 代理戰 양상으로 치러지면서, 앙금이 더해진 양 진영의 不和를 鄭 의원 입당을 통하여 일부라도 풀겠다는 것으로 보면 되겠다.
문제의 핵심은 그간 朴희태 대표는 재보선 패배와 盧 전 대통령 서거정국 이후 제기된 黨內 少壯파의 퇴진 요구에 맞서, 刷新의 本體는 大和合이라며 親朴 끌어안기를 추진하여 왔기에, 親朴 鄭수성 의원의 입당 문제를 계기로 朴희태 대표의 親朴 진영 끌어안기 작업이 탄력을 받으므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런 차원에서 지난 총선 때 탈당하였다 복당한 親朴계 의원 18명을 최근 黨협조직위원장에 임명한 朴 대표가, 鄭 의원의 입당 문제까지 매듭지음으로써 또 하나의 黨內 和合 message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한나라다의 모든 문제의 端初는 결국 親李-親朴 간의 不和로부터 시작한다고 보는 것이 朴희태 대표의 생각인 만큼, 黨 和合을 위한 親朴 끌어안기는 계속될 것으로 예견되는 일이며, 이 때문에 朴희태 대표가 한나라당과 親朴연대의 黨對黨 統合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있는 것 같으며,실제로 그는 선거법 위반 혐의로 유죄가 확정되어 구속된 徐청원 親朴연대 대표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전하여 지고 있다.
이런 朴희태 대표의 親朴 끌어안기는 현재 院外에 있는 그러서는 親李-親朴 진영의 신뢰 분위기 조성을 통하여, 9월경쯤 和合型 早期全黨大會를 성사시킨 뒤, 자신은 10월 재.보선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으로 그 자신의 政治的 진로와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또한 지난 4.29 재.보선을 통하여 朴근혜 전 대표와 親朴 진영의 협조 없이는 ,10월 재.보선 전망도 불투명하다는 게 입증되었기 때문에 朴희태 대표가 親朴 끌어안기에 死活을 걸고 있다고 보는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원문, everkorea.net)
|
'정치.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親朴 李정현, 洪준표 당신 입(口)?나쁜 사람. (0) | 2009.06.23 |
---|---|
李 대통령, 갈라진 民心 근원적 처방 필요하다. (0) | 2009.06.22 |
親朴 입각추진, 李재오 살리기가 되어선 안 된다. (0) | 2009.06.20 |
쇄신폭풍에 親李 흩어지고. (0) | 2009.06.19 |
弔問을 政治化에 반감, 弔問정국 조기 사그라진다. (0) | 200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