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시사.

盧 서거책임?, 言論-本人과 家族-MB 順이란 보도를 보고.

碧 珍(日德 靑竹) 2009. 6. 23. 19:31

    [객원칼럼 벽진]

     

    盧 서거책임?, 言論-本人 家族-MB 순이란 보도를 보고.

     

     

     

    국민들은 盧 전 대통령 서거에 검찰 수사가 공정성을 잃었으며 盧 전 대통령이 정치보복의 희생양이 되었다는 주장에도 공감을 나타내었으나, 가장 큰 책임을 언론에 있다고 창간 55주년 한국일보-미디어리서치 공동 조사에서 나왔었다. 즉 盧 前대통령 서거 책임은 言論-本人과 家族-MB 순서로 많이 나왔다는 것인데, 전 대통령 서거 책임을 놓고 2개의 복수응답을 받아 합산한 결과가 言論이 40.3%로 가장 많았고, 근소한 차이로 盧무현 自身과 家族이 38.2%이고, 李 대통령이 36.6%, 검찰이 31.8%로 뒤를 이었다.

     

    또한 서거의 가장 큰 책임이 무엇인지 한 가지만 선택하도록 질문한 경우에는 盧무현 전 대통령 자신과 가족이 31.6%로 가장 많았고, 이어 李 대통령 22.5%, 言論 20%, 검찰 10% 순으로 나타났었다. 그러기에 盧무현 自身과 家族의 책임이라는 응답은 50대사 44.7%이며, 60대 이상에서 58.2%. 서울에서 42%. 仁川-京畿지역에서 43%. 李 대통령이라는 응답은 40대에 45%이며 湖南에서는 54%로 상대적으로 많았었다.

     

    그리고 한나라당의 텃밭인 嶺南의 경우 大邱-慶北(TK)은 盧 전 대통령 自身과 家族의 책임이라는 응답이 49.2%로 가장 높았지만, 釜山-蔚山-慶南(PK)은 李 대통령 책임이라는 응답이 40.7%로 가장 많아 인식의차를 드러내었으며, 盧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하여 63.8%가 공정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또 대통령 서거가 정치보복 때문이라는 주장에는 57.1%가 동의한다고 하므로 검찰 수사의 공정성 논란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작았고, 정치보복 여부도 논란을 빚고는 있지만 검찰 수사에 대한 국민 불신의 강도가 훨씬 크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기에 한편에서는 盧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하여, 일국의 최고 권력자를 지낸 사람이 가족들이 부정한 돈을 받은 게 부끄러워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며, 이는 자신만의 도피일 뿐이고 지극히 개인적인 냉혹하고 무모한 승부수일 뿐이라고 말했다. 즉 人間 盧무현의 죽음에 대하여 깊은 연민을 갖고 있지만, 大統領 盧무현의 자살에 대해선 심한 거부감을 갖고 있으며, 대통령의 자살이 가져올 사회적 혼란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매섭고 냉정한 선택이기에 대통령 盧무현의 자살을 냉혹한 승부사의 무모한 선택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

     

    작금 일부 대학마다 일부 교수들이 민주주의의 역행을 규탄한다는 요지의 시국선언을 잇달아 발표하므로 소위‘교수 시국선언 政局’이 펼쳐지고 있었는데, 한 민간경제연구소(자유기업원-원장 金정호)가 성명을 발표하며 서울대 시국선언 참여 교수의 33%가 盧무현 대통령 탄핵소추 철회 서명에 참여하였던 교수들이라며, 시국선언이 정치적으로 편향된 교수들의 집단행동이라고 비판했으며, 또한 교수 시국선언은 民主黨과 反政府 진영의 시민단체-노동계-종교계가 주도하는 反政府 투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데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과거 민주화 투쟁 과정에선 교수들이 중요 고비 때마다 시국선언을 통하여 국민 여론을 움직이고 대한민국의 현대사를 바꾸는 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작금의 시국선언 정국에 대해서는 지식인으로서 정국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시각과, 주도하는 교수들이 政派性을 띠고 있다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기에,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교수사회의 시국관을 대표하고 있는지에 대해선 의문이라는 지적도 있다.

     

    즉 실제로 최근의 시국선언은 진보 진영 교수 조직인‘민주화를 위한 교수협의회(민교협)’소속 교수들이 주도하고, 과거 金대중-盧무현 정부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하였던 인사들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고, 민교협은 2008년 촛불정국과 2006년 평택 미군기지 반대운동 및 2003년 이라크 파병반대 등에 앞장섰었던 전력을 갖고 있으며, 이들은 盧 전 대통령의 서거를 자신들의 政治的 目的달성에 惡用하고 있다는 지적도 많은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시국선언 정국에 대하여 다른 교수들은 李명박 정부가 잘한 것도 없지만, 그렇다고 1980년대식의 시국선언 분위기는 아니지 않으냐는 반응을 보였으며, 또한 전체 교수들이 공감하는 내용은 아닌 것 같다고도 말하고, 서울대 박효종 교수는 盧 전 대통령의 서거를 사회통합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점에서 아쉽다고 했었다.

     

    金대중은 6.15 남북 공동선언 9주년 기념식 강연의 핵심은 전쟁의 공포에서 한반도를 해방시키려면, 자신과 盧무현 전 대통령이 이끌어낸 6.15 선언과 10.4 선언의 정신이 지켜져야 하며 대북 포용정책을 결코 포기해선 안 된다며, 또다시 故人이 된 盧무현 전 대통령을 끌어들여 국민을 선동하고 있다.

     

    金대중이 작심하고 피맺힌 심정이라며 표현한 절박한 시국인식을 이해한고 생각하는 국민들은 없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기에, 거친 말을 쏟아낸 전후 맥락이나 진의는 좀 더 따한 것이다.

     

    더구나 金대중의 연설만 들어서는 무엇을 독재라는 것인지 납득할 수가 없고, 자신이 집권했을 때보다 잘못된 것은 무엇이며, 또한 지금의 정치 상황이 국민 모두가 들고 일어나야 할 만큼 참혹한 정치상황도 아닌데도, 국정을 운영하여본 경험 있는 전직 대통령이 민주적 절차와 틀(rule)을 파괴하고 나라를 혼란으로 이끌어가는 것은 無責任한 것이다.

     

    그런데도 金대중은 또 盧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하여 문상객의 10분의 1 만이라도 전직 대통령을 모욕 주고 이렇게 수사하면 안 된다고 서명했다면 죽지 않았을 것이라고, 故人을 自己 言行을 合理化시키기 위하여 끌어 들이는 모양새는 참으로 안타깝고 망령된 작태가 아닐 수 없다고 하겠으며, 생각 좀 해보자 전직 대통령이라면 나라가 어렵고 혼란스러울 때 國民和合과 危機克服을 위하여 힘을 보태주는 게 온당한 처사이기에, 최소한의 품위와 금도를 지켜주지 않은 것을 국민은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는가.

     

    되돌아보면 실패한 左派정권의 실패한 對北정책을 답습하라고 지난 盧무현 정권에 물려주었었고, 이제 李명박 정부에도 직.간접으로 강요하며, 또 國民이 만들어 낸 현 정권을 공격하는 일에 모두 일어서라고 民衆을 선동하는 것은 민주화 역사를 역류하는 죄짓기 하는 것임을 金대중은 알아야 하겠다.

     

    즉 民主라는 假面 탈을 쓰고 反民主를 부추기는 金대중의 현 정권타도 선동 은,국민이 볼 때 과연 전직 대통령 이었던가 의구심이 생기며 그의 행위는 망령된 작태라고 보여 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金대중은 盧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죽음에 충격을 받고, 또한 현 정부가 자신의 주장과 다른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불만스러울 수도 있으나, 전직 대통령도 정부 정책에 이견을 표시하고 반대할 수 있으나 국민이 투표로 선출한 정부를 自身의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獨裁라고 부르고, 들고 일어나라고 하는 것은 道理에 맞지 않는 일이며, 국가 원로가 言行으로 할 태도는 더군다나 아닌 것이라 하겠다.

     

    작금 金대중은 우리 국민은 前代未聞의 경제 위기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생각한다면, 지금은 가만히 침묵을 지켜주는 것만이 國民과 國歌를 도와주는 바른 길임을 알아주기를 우리는 바라며, 특히 金대중의 時代錯誤的인 發想과 發言. 行動에 대하여 정말 경악을 금치 못하는 국민이 많으며, 故人이 된 盧무현 전 대통령을 끌어드려 國民과 멀게 하지 말고 욕되게 하지 말아 주기를 國民들은 念願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다.

    (원문, everkorea.net)

     

    삼가 조의를 표하며 극락왕생하소서.    나무 지장보살. 

     

성불하소서.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