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시사.

親李-親朴 和合-쇄신논쟁, 소통은 없고 권력투쟁만 있나

碧 珍(日德 靑竹) 2009. 6. 7. 11:33

    親李-親朴 和合-쇄신논쟁, 소통은 없고 권력투쟁만 있나.

     

     

     

    한나라당 鄭두언 의원이 작년 총선 직전 李상득 의원의 不出馬를 요구하였던 55인 반란에 주도하여 나섰고, 이어 6월 李상득 의원과 측근들을 겨냥한 權力 私有化 논쟁에 불을 붙였고, 이번에는 지도부 사퇴를 둘러싼 쇄신 파동을 주도하고 있는데, 그 스스로 金용태 의원 등 초선 의원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정도라고 말 하지만, 黨內에선 그가 쇄신의 밑그림을 그리는 조율사 역할을 맡고 있다는 말이 지배적이라, 3차 鄭두언의 난을 일으키고 있는 행태라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모양새가 되어 이목을 끌고 있다.

     

    鄭 의원은 쇄신특별위원회 및 민본21 등과 힘을 모아 일요일까지 朴희태 대표 사퇴를 압박하겠다면서, 이게 수용되지 않으면 다음 주에 집단행동을 하겠다고 말하며 연판장을 돌리거나 천막농성을 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며, 그는 이제 우리는 與黨 內 野黨이라고 親朴계 흉내를 내고 있어 실소를 자아내고 있는 가운데, 5일에도 조기 전당대회를 주장하였던 李재오계 7인 성명 의원들을 규합하여 대책을 논의했으며, 개혁 성향의 초선의원 모임인‘민본21’소속 의원들과도 만나 정치 comedy show 한편을 연출하고 있는데 그 결과가 주목 된다.

     

    문제는 이번 쇄신운동은 현 지도부로는 위기를 헤쳐 나가기 어렵다는 절박한 인식에서 시작하였다지만, 진실한 속내는 지도부 사퇴는 李상득 의원이 만들어 놓은 권력지형을 재편하고 새 질서를 만드는 과정인 것으로 이는 李 대통령의 親兄인 李상득 의원의 세력을 견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親李-親朴 간의 갈등은 치유가 불가능하다며 이번 기회에 親李-親朴이라는 양자대립 구도를 刷新 대 反刷新 대결로 바꿔야 한다는 저의를 깔고, 더불어 親朴계를 無力化시키겠다는 의도인 것이며, 또한 李재오를 조기 복귀시키기 위한 한낱 꼼수로 보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라 하겠다.

     

    그러면서 그는 親朴계가 지도부를 감싸고도는 것은 지금과 같은 적대적 동거를 연장하면서, 黨을 枯死시킨 후 일거에 黨을 접수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역설을 해대고 있는데, 李상득 의원은 2선 후퇴를 선언하므로 보기는 鄭두언 의원이 승리를 거둔 것처럼 보이지만, 4일 열린 의원연찬회에서 지도부 사퇴 주장이 관철되지 못하므로 鄭 의원 측 입지가 매우 어렵게 좁아졌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으며, 李상득 의원이 2선 후퇴를 하였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문제는 李 대통령도 鄭두언 의원의 주장에 옳게 받아들이지 않은 반응을 보이는데다가, 그 결과 연찬회에서 지도부 사퇴를 공개적으로 지지한 의원이 20명 안팎에 그쳤다는 점도 이 같은 정황을 보여주는데, 그는 이번 쇄신운동에 참여하는 것에 대하여 자신의 진정성을 호소하고 있으나, 배수진을 치고 싸움에 나섰지만 상황은 그리 쉽지 않는 싸움이 되고 있다.

     

    한나라당의 쇄신 논란은 4.29 재.보선 참패에서 시작되었는데 黨 쇄신론은, 黨 지도부 퇴진과 조기 전당대회 개최 여부를 둘러싸고 계파 갈등에다 세대갈등까지 겹치면서 원칙과 방향을 잃은 권력투쟁으로 변질된 양상이라, 한나라당의 쇄신 논란은 野黨의 비웃음거리가 될 정도로 혼란을 거듭하고 있는데다가, 盧 전 대통령 자살 이후 여론의 지지도가 급락하면서 더욱 갈팡질팡하면서 정신을 못 차리고 허둥대는 모습을 국민들에게 보여 주고 있다.

     

    또한 親朴 의원들이 쇄신을 요구하면서 당 지도부 교체와 조기 전당대회에는 결사반대하는 것도, 계파의 이해득실을 고려한 전략으로 보면 되는 것이기에, 鄭두언의원과 元희룡.南경필 의원 등 소장파 리더그룹은 함께 지도부 퇴진론을 주도하므로 특정세력의 권력 장악 음모론까지 불거지는 가운데, 특히 親李 중에서도 李재오와 가까운 의원들이 지도부 퇴진과 조기 전대 요구에 앞장서고 있기에, 李재오의 당권 장악 시도라는 의구심을 사고 있고, 그래서 명색이 집권여당이 自中之亂에 휩싸여 남 탓만 하느라 民主黨의 盧 전 대통령 자살에 대한 정권 책임론과 대통령 사과 요구에도 명확하게 대응을 못하는 무기력증을 노출하고 있는 현 상황이다.

     

    한나라당 元 쇄신특위 위원장은 黨 최고위원-대선후보 경선을 완주한 3선 의원임에도 보수적 당 분위고 있으나, 그가 5일 재차 黨 지도부가 현상 유지를 위해 책임지는 모습을 거부할 경우 쇄신특위 활동을 즉시 종료하겠다며 배수진을 친 것 때문에, 그의 정치적 명운을 건 듯 하며 지금 그에게는 의원 연찬회 후 五里霧中의 여권 쇄신의 명운과 자신의 진로도 걸려 있는 실정이다.

     

    즉 원 의원은 쇄신특위의 첫 번째 목표는 청와대의 변화고, 당 지도부가 먼저 용단을 내리고 책임을 짐으로써 쇄신의 앞길을 열어줄 수 있는 밑거름이 돼야 한다고 거듭 압박하며, 쇄신파들의 결기를 끌어안지 못하는 정당은 정당이 아니라고도 막말을 이미 한 상황인데, 지도부 총사퇴 등 黨 쇄신 요구가 계파 시각차와 靑와대라는 벽에 막혀 동력을 잃어가는 데 대한 반전 시도인 동시에, 그 개인으로서도 쇄신바람이 중요한 정치적 분기점이다.

     

    한편 朴희태 대표가 쇄신파들로부터 전방위 용퇴 압박을 받았으나, 거부 의사를 밝힌 가운데, 의원 연찬회 고비를 넘긴 만큼 속전속결하지 않고 상황을 수습하겠다는 분위기이고, 특히 그는 元 쇄신특위 위원장의 활동 중단 압박에 대하여도 쇄신문제가 하루 이틀에 끝나느냐며 쇄신특위 활동은 계속해야 한다고 맞대응도 불사한 것은, 지난 4일 의원 연찬회에서 쇄신파의 사퇴 요구가 黨內 여론을 장악하지 못했다고 판단하고 있는데다가, 그가 자신감을 갖는 것 또한 靑와대의 의중도 사퇴 만류였다는 보면 되겠고, 더구나 朴근혜 전 대표 측도 지도부 교체 불가를 주장하며 보호막을 자처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또 한편 朴 대표는 親朴계 의원모임인‘여의 Form’에서 이 시점에서 꼭 해야 되는 것은 單純한 和合보다 源泉的인 和合이 있어야 한다며, 원천적 화합을 위하여서 앞으로 저도 한 몸을 바칠 각오를 하였다고 말한 것은, 쇄신파들이 요구하는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는 朴근혜 전 대표 측이 참여하지 않는 한 단순한 和合에 불과할 것이란 반박인 셈으로, 원천적 和合을 위한 자신의 역할론을 내세워 사퇴 압박을 밀어내겠다는 뜻으로 보는 것이 옳은 것 같다. 그렇지만 쇄신파들은 사퇴하지 않을 경우에 쇄신 폭풍의 초점은 朴희태 대표의 진퇴 문제에 1차적으로 집중될 공산이 크고, 그래서 朴 대표의 버티기가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朴희태 대표는 黨 일각의 퇴진 압력을 받고 있으나 지금 우리 당은 승부처를 맞고 있다며 장고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4일 의원 연찬회에서 少壯파 의원들이 제기했던 지도부 퇴진과 조기 전당대회 개최 요구는 主流 대부분과 親朴계 의원들의 부정적 입장으로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분위기이며, 이 때문에 朴 대표의 장고는 자신의 진퇴문제보다는 최근 계속 강조하였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 때문인 것으로 보이는 것이, 즉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 사이의 진정한 和合 문제인 것이다.

     

    朴희태 대표 측근들은 조기 전당대회를 여는 목적이 화합을 위한 것인데, 출마를 요구받고 있는 親朴 쪽에서 싫다는데도 자꾸 강요하면 화합은 더 깨진다고 하는 판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黨 대표가 조기 전당대회를 하라며 사퇴하는 것은 黨이 깨지라고 내던지는 격이라고 했다.

     

    생각하기에 한나라당의 모든 문제는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 즉 두 사람 사이의 不和에서 단초가 된 것이므로, 그것이 해결되지 않는 한 百藥이 무효일 것이고, 朴희태 대표는 근본 문제 해결에 대한 최종 시도를 해본 후 자신의 진퇴문제를 연관시켜 결정할 것으로 볼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李 대통령과 靑와대 이든 政府와 韓나라당 이든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고 물러날 사람이 있으면 물러나야 하겠으며, 이어 열릴 청와대에서 李 대통령과 의원들의 회동은 그간 黨 內外의 모든 논의를 진솔하게 하여 대안을 마련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고, 또한 질서도 책임감도 없는 중구난방 식 쇄신 논의는 도리어 여당의 혼란만 가져오고 더불어 국정의 난맥과 국민에게 아픔과 경제의 어려움만 남겨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