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원칼럼 벽진]
韓 黨지도부 사퇴-조기 전대, 李재오 복귀 꼼수이다.
4일 親李 핵심직계인 鄭두언 의원은 작년 총선 때 李상득 의원의 용퇴를 주장했는데 권력투쟁이라는 오해가 많았다며, 그러나 그는 권력을 포기하고 말을 했고, 최근 탕평 인사에 관하여 7인 성명을 낼 때도 같은 심정이었다고 그의 진정성을 강조하면서, 黨-政-靑 전면쇄신론을 들고 나온 배경을 나름대로 설명하였는데, 또한 자신도 공무원이었기 때문에 나도 장관을 하고 싶었지만 7인 성명으로 이제 장관 기회는 없어졌다고 덧붙여 말도 하였으며, 이날 열린 의원연찬회에서 소신발언을 한 뒤 기자실을 찾아 조기 전당대회를 포함한 여권 쇄신 필요성을 거듭 역설했엇다. 그러면서 非주류에서 李재오의 사주를 받았다는 식의 계파적 시각으로 보는데 모든 걸 그렇게 보면 진정성이 안 보인다고 지적하면서, 지도부 퇴진과 조기 전당대회는 단순히 親李가 찬성하고 親朴이 반대하는 게 아니라면서, 현 체제 유지를 바라는 非주류와 靑와대 및 지도부가 반대하는데 논리가 똑같다고 강조하며, 또 쇄신특위 위원장이 지도부가 퇴진을 거부할 때는 활동중단 방침을 재확인했다고 하였었다. 한나라당의 의원 연찬회에서는 李명박 정부의 국정기조 전환을 요구하는 발언들이 잇따랐는데, 親李계 핵심인 鄭태근 의원은 연찬회를 하루 앞두고 대통령은 국정 쇄신의 뜻이 없다는 청와대 핵심관계자의 얘기가 보도되었는데, 익명으로 언론에 흘려 보도되게 한 것은 부적절한 처사라며 비판의 포문을 열었다. 이에 親朴계 핵심인 李정현 의원은 조기 전당대회는 국민 관심사가 아니며, 사태의 본질은 대통령이고 대통령의 정책기조라며, 만일 전당대회로 간다면 이러한 기조의 쇄신이 묻혀버리고, 특히 不通과 排除 및 獨走가 가장 큰 문제였던 만큼 非주류와 野黨에 대한 배제를 깨고 정책 탕평과 人事탕평이 있어야 한다며 조기 전대를 반대하는 이유를 천명하였고, 이어 親朴계 李성헌 의원도 民心이반의 원인은 黨 지도부가 아니라 靑와대가 黨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라며, event로 상황을 돌파하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말했었다. 그런데 黨內의 계파에 따라 조기 전당대회에 대한 의견은 달랐지만, 政府와 靑와대가 잘못하고 있다는 데는 모두가 공감했다는 분위기이었으며, 특히 -靑 간 소통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었다. 즉 이날 黨 쇄신특위에서 제시한 여론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 방식에 대하여 공감한다는 당원들의 비율은 70.4%에 달했으며, 또 靑와대와 政府 人事의 편파성에 대한 黨員들의 공감 비율도 71.5%로 나타났고, 또 黨內 不和合의 원인으로 一般人은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의 양 측근을 49.9%로 많이 꼽은 반면에, 黨員은 포용하지 못하는 李 대통령을 53.2%로 가장 많이 지적한 것을 보면, 政府와 靑와대에 대한 黨內 불만이 많다는게 여실히 드러나 있다. 한편 尹석용 의원은 李 대통령이 朴 전 대표에게 먼저 손을 내밀고 당을 하나로 만들어야 한다고 포용론을 제안하며 李-親朴의 共存을 주장했고, 이어 金학용 의원도 黨 지도부가 사퇴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가 和合하여서 해결하는 게 방법이라며. 黨-靑간 소통을 위하여 정무장관 등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하자, 또 權영진 의원은 國政同伴者와 共同政權을 해야 하면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가 손잡을 것을 촉구했었다. 그러기에 문제는 親李계를 위시한 다수 의원들이 4일 의원 연찬회에서 4.29 재.보선 완패와, 盧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민심의 동요를 수습하기 위하여, 쇄신안으로 朴희태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의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를 요구하였는데, 이에 親朴계 의원들은 위기의 본질이 李 대통령으로서, 조기 전대 개최론을 둘러쌓고 黨內 갈등은 연찬회를 계기로 증폭되는 모양새인데, 이에 따라 黨의 전면쇄신 요구에 靑와대가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둘러싼 黨內 계파 간 힘겨루기가 심화하게 되므로, 여권 전체가 내홍에 휘말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예견할 수도 있다. 이날 열린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親李계 鄭태근 의원과 權택기 의원. 金성태 의원은 한결같이 대통령이 쇄신요구를 수용하는 용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이반된 民心을 바로잡으려면 朴희태 대표가 용퇴해야 한다고 요구했으며, 黨 통합을 위한 전당대회로 나가야한다며 조기 전대 개최를 요구했었다. 또한 親李계 林해규 의원은 親李계를 배제한 채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전당대회의 시기와 방법을 논의하자고 제안하면서, 만일 李재오가 당 대표 경선에 나온다면 내가 막겠다며 親李 주도권을 포기해야 한다고 강조하므로 같은 親李계 끼리도 생각들은 달랐었다. 즉 국회의원 연찬회를 통하여 확인된 것은 親李계는 조기 전당대회가 불가피 하다는 반면에, 親朴계는 대통령과 靑-政이 바뀌어야 한다고 서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기에, 각각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현실을 확인할 뿐아었다. 한나라당은 의원연찬회에서 親李계 쇄신파 의원들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를 쇄신파 7명이 李재오를 내세우려 한다는 얘기가 있지만, 지난 총선에서 국민심판을 받은 李재오가 어떻게 黨 대표를 할 수 있겠는 가 주장하면서, 李재오의 조기복귀를 위한 것이란 주장을 음모론이라고 반박하며 극구 부인하였으나 親朴계는 의심의 눈길을 떼지 못하면서, 親朴계 의원들은 和合과 거꾸로 가는 쇄신안을 얘기하면서, 和合이 무슨 의미가 있는가라는 냉소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親李계-親朴계는 李재오의 복귀설과 朴 전 대표 역할론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이런 문제와 더불어 朴 전 대표의 역할을 놓고서도 양측은 다른 해법을 내어 놓고 있다. 즉 親李재오계인 車명진 의원은 朴 전 대표가 계속 뒤에 있으면 朴 전 대표를 피해자가 아닌 방관자로 착각하게 된다며, 朴 전 대표는 黨이 어려울 때 뒤에 있지 말고 앞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문하였지만, 親朴계 李정현 의원은 李 대통령의 不通-排除-獨走가 가장 문제라며, 黨을 지키려고 10년동안 고생하였던 사람을 제치고 李명박 camp에 1~3개월 있었다고 그들을 다 쓰는가. 朴 전 대표는 칼 맞고 손이 퉁퉁 붓도록 일했는데 이건 아니라며 역으로 대통령의 人事탕평을 주문하였기에, 黨內 양대 계파인 親李계-親朴계가 지도부 사퇴론을 비롯한 여권 쇄신 방안을 놓고 뚜려한 시각차를 확연하게 보여 주고 있다. 즉 親朴계는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대하여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이는 지도부 사퇴론을 李재오를 위시한 親李계 친위 세력의 黨權 장악을 위한 수순으로 보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이란 시각이 대체적인 것이다. 반면 親李계는 盧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급락한 지지율을 만회하고 黨內 和合을 위해서는 지도부사퇴와 함께 조기 전당대회가 불가피하다고 반박했다. 그러나 親朴계 李성헌 의원은 4일 열린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집권당이 집권당 역할을 못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며, 전당대회 통하여 사람을 바꾼다고 달라질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하므로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에 대하여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한 편으로 親李-親朴 양 측은 李상득 의원의 2선 퇴진 선언에 대하여서도, 親李계는 李상득 의원의 2선 퇴진선언 결단을 잘 내렸다고 받아들인다며, 결국은 대통령의 兄이라는 정치적 위상 때문에 그분의 言行이 예민하게 받아들여진 것도 사실이고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고 말하나, 이에 반하여 親朴계는 서둘러 조기 전당대회를 하고 퇴진하는 식의 접근으로는 해결책이 없다고 밝히면서, 이는 정상적 쇄신이라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는 것을 보면, 결국 양 계파는 극명하게 엇갈린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라 하겠다. (원문, everkorea.net) |
'정치.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 얼굴 民主黨, 국정 혼란 부추기지 말라. (0) | 2009.06.08 |
---|---|
親李-親朴 和合-쇄신논쟁, 소통은 없고 권력투쟁만 있나 (0) | 2009.06.07 |
李상득 2선 후퇴, 李재오 일선복귀 일보전진?. (0) | 2009.06.05 |
李명박 정국 정면 돌파 노려, 親李재오계 전면 배치. (0) | 2009.06.04 |
民主黨, 盧 지우기에서 盧 계승으로 급전환 의미는?. (0) | 2009.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