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시사.

다음은 누구?, 朴연차 검은돈 PK서 서울까지.

碧 珍(日德 靑竹) 2009. 4. 1. 08:43

      [객원칼럼 벽진]  

       

      다음은 누구?, 朴연차 검은돈 PK서 서울까지.

        

       

      지난 27일 한나라당 洪준표 원내대표가 朴연차 태광실업 회장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을‘盧무현 정부의 비리 저수지’라고 묘사하면서‘물을 빼다 보면 큰 고기도 있고 작은 고기도 있다’고 하였는데, 또한 그는 우리 당에서도 관련된 사람이 있으면 적극적으로 출두하여 해명할 수 있도록 요청하겠다고 말 하였으나, 당내에서는 洪 원내대표처럼 명료한 목소리를 내는 인사가 많지 않고 입을 다물거나 도대체 어디로 향하는 거냐며 묻는 사람이 대다수인 것이다.

       

      문제는 朴연차 회장이 盧무현 전 대통령의 재정적 후원자 이었기에 처음에는 수사가 구여권을 향 하는가 했으나, 秋부길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 구속되면서 부산지역 許태열. 창원지역 權경석 의원의 연루설이 나돌고 예상치도 못하던 서울지역 朴진 의원까지 소환 조사를 받자 기류가 완전 확 달라졌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朴연차 회장의 주 활동무대가 釜山.慶南이기 때문에 특히 3선 이상의 의원들은 朴 회장과 이리저리 얽혀 있기에, 이들의 이름이 朴연차 list에 오르내리는 이유이고 그래서 釜山.慶南(PK) 정가는 곤혹스러운 모양새인데, 상당수는 金영삼 전 대통령의 측근인 민주계로 분류되고 있으며, PK 중진 중 누가 살아남을지는 오리무중인 셈이다.

      한편 민주당은 李광재 의원이 구속되고 安희정 최고위원의 검찰 조사에 이어 徐갑원 원내 수석부대표가 검찰 소환 되어 조사를 받는 등, 親盧 386세대가 줄줄히 소환 되므로 鄭세균 체제의 핵심기반인 親盧 세력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데다가, 鄭동영 전 통일부 장관의 4.29 全州 덕진 재선거 공천 논란까지 겹쳐지므로 내우외환의 격랑에 휘말려 鄭세균 대표 체제가 지난해 7월 출범 이래 최대 위기에 처하여 지고 있다.

       

      그래서 민주당은 30~31일로 예정 되었던 의원 workshop을 취소하고 소속의원 전원이 참여한 긴급총회를 열어 대책을 숙의하기로 하였으며, 鄭 대표는 제1야당으로 절대 좌시할 수 없는 중대한 국면을 맞았다며, 민주주의를 파괴하려는 막말을 하며 이번 수사를 야당의 위축을 노린 사정. 공안 정국 조성으로 규정지으며, 4월 국회에서 특검 도입을 요구하며 투쟁하기로 했다.

       

      그런데다가 우선 鄭 대표가 孫학규 전 대표와 金근태 전 보건복지부 장관 등 칩거 중인 중진들의 조기 복귀 문제와, 동교동계 등 원로 중진세력과의 연대 등을 통하여 위기를 돌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기 있으며, 그동안 소수의 당권파를 중심으로 당을 운영하여온 鄭 대표가 강경노선 일변도인 親盧. 386 세력에 밀려나 있던 중도세력 및 충청.호남권 의원들과 연대하여 대중적 기반을 넓혀야 하는 鄭 대표로서는 이번 사태는 역설적으로 기회라고도 볼 수 있고, 물론 그럴 경우 재.보선 결과를 놓고 민주연대나 구민주계 등 鄭 대표와 거리를 두고 온 비당권파들의 반발이 향후 변수가 될 전망이기에 민주당의 앞길이 순탄하지만 않다고 예견할 수 있다.

       

      그간 정권이 바뀔 때마다 무수한 司正 태풍을 피하여 온 정치권이지만, 여.야의 차세대 정치 지도자들까지 수사선상에 오르내리는 전격성에 질린 모습으로, 이번에는 예사롭지 않다는 느낌인 모양인 듯하며, 부산.경남 정계와 386운동권이란 여.야의 핵심기 때문에, 朴연차 회장의 불법 정치자금 사건으로 작금 여의도가 불면의 나날을 지내고 있다.

       

      27일 朴진 한나라당 의원이 검찰의 朴연차 List에 들어있다고 상상도 못했기 때문에, 朴 의원이 검찰에 소환되자 한나라당은 큰 충격에 휩싸였는데, 한나라당 중진인 朴 의원까지 검찰에 걸려들 상황이라면 여권에서도 누구 나 안심할 인사가 없을 것이라는 불안감이 당내에 급속히 퍼지고 있는 것은, 당내에서는 朴 회장의 lobby 손길이 어디까지 뻗고 있는지에 촉각을 세우고 있는 모습인데, 지금까지는 부산.경남(PK)출신 국회의원들을 중심으로 검찰 소환 List 나돌았는데 그렇지 않다는 것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금 PK 지역에서는 朴 회장 lobby에 연루된 것으로 이미 언론에 보도된 의원들 외에 다른 전.현직 의원들이 List에 올랐다는 소문이 돌고 있고, 실제로 당 안팎에선 PK 지역의 K. C 의원과 C. K 전 의원 등이 朴 회장의 lobby를 받았고 검찰의 수사망에 올랐다는 소문도 나오는 가운데, 지금은 검찰은 부인하고 있지만 鄭대근 전 농협중앙회장의 정치권 lobby자금 내용이 담긴 鄭대근 List가 존재한다는 주장도 있어, 더불어 수도권의 전.현직 의원들에게도 파장이 튀는 건 시간문제가 아니냐는 예측도 나온다.

       

      27일 민주당 충남도당의 논평에 따르면 한나라 당 孔성진 최고위원이 지난 24일 충남 천안에서 열린 한나라당 충남도당 주최 정책설명회에서, 孔 최고위원은 한나라당이 집권 여당인데도 경찰서장이나 세무서장. 검찰지청장이 부임하면 당연히 한나라당 위원장들에게 와서 인사하고, 지역 현안을 같이 해결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이른바 신고를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그런 징후가 보이지 않는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주장하면서 이 발언을 한 것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그런데 孔 최고의원이 지방 기관장이 부임하면 지역구 한나라당 위원장에게 인사를 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였다면,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파괴하는 행태라 전근대적인 사고를 소유한 정치인으로서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라 가소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자 孔 최고위원은 이에 대하여 집권여당이 되었는데 충청 및 호남 지역의 경우에는 현역 의원이 거의 없기 때문에, 黨政협의가 제대로 안 되고 있음을 언급한 것이라며 黨政협의 등을 통하여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지역 발전이 이룰수 있지 않느냐는 취지에서 한 발언이라고 해명하고 있으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알고 있는 집권여당 최고위원이 헌법에 명시된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파괴하는 말을 하므로, 공무원 줄 세우기 의도를 드러냈다면 이는 구태의연한 행태로 70년대 권위주의 시대로 회귀하는 후안무치한 발언이라 할 수 있다.

       

      생각하기에 검찰 수사가 여의도를 정조준 한다고, 민주당처럼 검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사건을 정치 쟁점화하기 위하여‘朴연차 특검’이 필요하다며 역공에 나서거나, 검찰 수사가 자기당 소속의원을 소환 조사 한다고 盧무현 정부 핵심을 겨냥한 짜 맞추기 수사라고 하는 것은 語不成說이며 정치인으로서 진솔한 행태로 보기 민망하기만 하다.

       

      또한 盧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특검 필요성을 얘기하였던 孔성진 최고위원은, 검찰 수사 결과가 미진하다고 판단되면 국회 차원에서 특검을 요구할 수 있지만 지금 단계에서는 전혀 아니라고 한 것은 옳은 말이다. 즉 전.현 대통령도 국회의원도 판사도 검사도 경찰도 고위공직자도 모두 평범하고 보통 대한민국 국민이기 때문에 법 앞에는 아래위가 없다는 것이다. 이제 자고나면 公人들의 부정한 행위보도도 지겨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