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근혜, 미래 권력과 話頭‘福祉’.
한나라당 朴근혜 전 대표의 대중적 지지는 변함이 없었고, 미디어법과 세종시 등 현안에 대한 입장 표명은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하였지만, 오직 朴 전 대표와 親朴계 좌장으로 불리든 金무성 의원과의 관계에서 보이지 않는 금이 가는 조짐이 보이면서 내부적으로 분열 우려가 제기되었으나, 親朴계는 主流 측의 계속되는 견제 속에서도 黨內 입지를 2009년 한해에 더욱 굳혔다고 볼 수 있다.
즉 朴근혜 전 대표와 金무성 의원 사이에 이상 기류가 확실히 드러난 것은, 지난 5월 院內代表 경선 때부터였다고 보면 되겠는데, 2009년 초에도 金 의원이 이제부터 親朴계도 할 말은 하겠다고 하자, 朴 전 대표가 個人 立場이라고 부인하는 불협화음이 있었다.
그렇지만 문제는 親李 主流 측이 金 의원에게 院內代表를 제안하자 金 의원은 親朴계도 國政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 자신이 양쪽의 교량 역할을 하여보자는 취지에서 朴 전 대표에게 뜻을 알렸으나 당시 미국 스탠퍼드대 특강을 위하여 방미 중이던 朴 전 대표는 단호하게 안된다고 하므로, 5월 원내대표 경선파동은 親朴진영내 파동으로 일었었다.
그런데 지난 10월에는 세종시 수정을 놓고, 원안 고수 입장인 朴 전 대표와 다른 金 의원은 한 언론 인터뷰에서 개정 필요성을 언급하였는데, 그러자 朴 전 대표는 다음 날 바로 원안+α를 언급하므로 충돌하였었다. 즉 金 의원의 발언이 親朴계의 뜻으로 비칠까 보아 朴 전 대표가 서둘러 입장을 확고히 한 것이라 볼 수 있는데, 이후 金 의원은 세종시에 대해 더 이상 언급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정치권에서는 朴근혜 전 당 대표는 말수는 적었지만 朴 전 대표의 한마디에 정치권의 風向은 서북풍에서 동남풍으로 흔들렸기 때문에. 즉 확장하는 미래권력 앞에서 때로 역할론의 구애로, 때로는 반사이익의 정치라는 비난으로 응해야 하였기 때문에, 朴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한마디 정치’는 與黨에도 野黨에도 무거운 숙제였다.
그러기에 與野에서 다 같이 표출된 이중적 대응으로 인하여 朴 전 대표와 親朴 세력은 代案野黨으로서 자리매김이 되기도 하였지만, 얼어붙은 정국에서 침묵이란 현실적 한계를 내비치며 외톨이로 고립되기도 하였는데, 이는 모두 與野의 현실 권력에 대하여 同伴者이자 견제자라는 朴 전 대표의 이중적인 위치가 부여한 조건이었다.
또한 단순히 與黨 內 野黨을 넘어 福祉로 집약된 話頭에서 보듯이 아버지·保守라는 익숙한 허물을 벗는 미래권력의 도상에 섰다는 의미인 것이 되기에, 이 때문에 親朴계에서는 새로운 정치실험이란 평가도 내놓는다.
朴근혜 전 대표는 두 번의 재보선서 無爲의 힘을 과시하면서 미디어법 찬성으로 원칙 논란도, 代案野黨으로서 朴 전 대표의 일성은 새해 벽두부터 나왔었다. 즉 미디어법을 포함한 소위 85개 MB 의제 법안 강행추진에 대하여 작심한 듯이 여당의 법안이 국민에게 실망과 고통을 안겨주고 있다 2009년 1월 5일에 제동을 걸면서, 그 이후 與野의 미디어법 격돌 고비마다 朴 전 대표의 한마디 政治는 작동하였지만 입장은 흔들리기도 하였었다.
즉 2월 국회에선 野黨의 양보를 촉구하면서 향후 미디어법 강행처리의 빌미가 된 6월 국회 협의 처리라는 與野 합의문을 도출하는 도화선이 되었는데, 결국 6월 국회 막바지 朴 전 대표는 독과점 문제 해소를 조건으로 미디어법에 찬성하였기에, 그 결과로 원칙이 무엇이냐는 논란 속에 통찰의 여왕이냐, 눈치 공주냐의 평가가 분분하기도 하였었다.
그러기에 4월과 10월 두 차례 재.보선에 있어서. 親李-親朴 간 공천 논란 속에서도 일절 선거 지원에 나서지 않는 無爲를 통하여, 朴근혜의 政治學을 작동시키므로 與黨의 완패 결과로 자신의 힘을 증명하므로, 2009년 한 해 동안 朴근혜의 힘은 역설적으로無爲의 政治로 극대화되었다고 할 것이다. 즉 그 결과로 4.29 재.보선 참패 후에는 총리설과 親朴 院內代表論 등 민심수습과 쇄신의 열쇠로 재 부상하였으며, 親李계까지 가세한 소위 朴근혜 역할론과 親朴 포용론이 대두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朴 전 대표는 지난 5월초 金무성 의원을 추대하려는 親李계의 親朴 院內代表論에 대하여 거부로, 大統領과 親李계가 책임정치를 하라는 것으로 親朴 院內代表로 상징되는 국정책임 공유하는 것을 거부한 연유인 것으로 그 매듭을 끊어버렸던 것이다.
또 한편으로 政府의 수정 흐름에 원안 추진은 黨의 존립 문제이라며 원안 고수를 못 박아 놓았기 때문에, 朴 전 대표는 세종시 수정을 놓고선 李 대통령과 퇴로 없는 외나무다리에 마주섰는데, 李 대통령으로선 현실권력의 권위로, 朴 전 대표로서 도전자 없는 미래권력이란 독점적 지위의 유효성이 걸린 일전이다.
이로 세종시 원안 고수에 대하여 趙갑제 등 강경保守층의 populisme 비난에 시달렸고, 또 미디어법 논란 때는 일가이귀 사내무공(一家二貴 事乃無功), 즉 한 집안에 권력자가 두 사람 있으면 그 집은 무슨 일을 해도 성과가 없다는 李재오 등 親李계의 직공을 받는 등, 朴 전 대표는 親李계는 물론 保守 진영 일각으로부터 강한 반발에 직면했던 때도 있었다.
朴 전 대표의 保守 대신 꺼내들은‘福祉’話頭는 미래권력이냐 눈치공주냐 의 갈림길이란 시점에서 朴 전 대표가 꺼낸 話頭인 것이다. 즉 朴 전 대표로서는 未來權力과 向後 政治 航路가 만나는 접점으로 福祉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는 의미인 것이다.
실제 지난 5월 미국 스탠퍼드대 강연에서 경제 발전의 최종 목표는 소외 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참여하는 공동체의 幸福 共有라고 언급한 이후, 그의 福祉指向 經濟觀은 자신의 인터넷 블로그 글과 각종 연설 등에서 幸福이란 마로 줄곧 변하였었다. 그러기에 朴 전 대표는 특히 朴 전 대표의 福祉는 幸福-自我實現 이런 차원에서 보는데, 이는 施惠的 福祉의 배려와는 다른 적극적 개념이라고 한다.
생각하기에 문제는 향후 침묵과 代案 野黨 사이를 그동안 오간 朴 전 대표의 행보는 향후보다도, 代案 쪽으로 기울 것으로 보이지만, 그런 만큼 치열한 與권 內의 도전과 野黨의 견제에 직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朴 전 대표가 未來權力으로 무탈하게 온전히 서느냐 아니냐의 외 갈림길이라 하겠다.
|
'정치.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動의 1위 朴근혜, 新年話頭‘信賴와 和合’. (0) | 2010.01.07 |
---|---|
孔성진 의원, 봐주기 수사 논란. (0) | 2010.01.04 |
送舊迎新. (0) | 2009.12.30 |
朴근혜 입장차와 忠淸 이해가, 세종시 과제이다(2). (0) | 2009.12.30 |
朴근혜 견해차와 忠淸 이해가, 세종시 과제이다(1). (0) | 2009.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