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원칼럼 벽진]
李 대통령-朴근혜 전 대표 회동, 간격 좁혀질까.
李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국가수반이기에 정치 행위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그동안 여의도 국회와 거리를 두어 왔었던 행보를 생각하면 근래에 들어 李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큰 변화를 시도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에 정치의 중심에 서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한편 朴 청와대 대변인은 briefing에서, 李 대통령이 朴근혜 전 대표와 만날 계획이 있다며, 가급적이면 이번 주에 만나려고 하였지만 일정 잡기가 쉽지 않아 다음 주 중에 만남이 이루어 질 것이라고 말하므로, 李 대통령은 이어 다음 주 朴근혜 전 대표와 회동할 예정이라고 청와대가 9일 밝혔는데, 그간 현 정부 들어서 두 사람은 작년 5월과 금년 1월 등 두 차례 따로 만난 적이 있다.
그런데도 두 사람의 이번 회동은 최근 黨-政-靑의 전면적인 인적개편이라는 변화한 정치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벌써부터 갖가지 정치적 해석이 분분한 가운데, 李 대통령과 朴근혜 전 대표가 다음 주 중반에 만날 예정이어서 이번 회동이 향후 여권의 권력지형 변화에 또 다른 momentum이 될 것인지 주목되고 있다.
또 한편 李 대통령은 9일 청와대에서 鄭몽준 신임 한나라당 대표를 만나, 鄭 대표가 만능 sportsman이라 黨이 젊어 보인다고 격려하자, 鄭 대표는 국회의원들의 입각과 관련하여 장관직을 잘 수행하여야 동료 의원들에게도 기회가 온다며 발탁에 대하여 사의를 표하였으며, 李 대통령은 경제 문제를 비롯하여 정책에 밝고 두루 신뢰를 받는 분이어서 잘할 것으로 믿는다고 기대하는 덕담으로 받아 넘겼다.
그런데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의 만남은 표면적으로는 지난달 24일부터 4일까지 유럽 4개국을 방문하고 돌아 왔으므로 특사 활동 결과보고인 것이라 하지만, 두 사람의 이번 회동이 갖는 의미는 최근 개각에서 親朴계인 경산-청도 출신 崔경환 의원을 지식경제부 장관으로 입각시킨 데 이어, 차기 대권 잠룡으로 거론되는 鄭운찬 전 서울대 총장을 총리로 내정하는 등 청와대發 여권 쇄신이 이루어진 직후이기 때문에 우선 시기적으로 볼 때 작지 않아 보이는 것이다.
문제는 朴근혜 전 대표와의 만남에 정치권이 큰 관심으로 주목하는 또 다른 이유는, 광복절 경축사에서 정치 개혁 의지를 밝힌바 있는 李 대통령으로서, 두 사람은 최근 단행된 개각과 청와대 개편 및 향후 국정 운영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과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10월 재.보선 전략과 2010년 6월 지방선거에 대비한 포석 등, 여권 주도의 정치 지형 변화까지도 대화 주제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는 생각이 들고, 아무턴 매끄럽지 못한 관계에 있는 朴 전 대표와의 회동을 통하여 어떤 형식으로든 黨內 和合용 결과물을 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인 것이다.
한편으로 차기 대권 구도와 관련하여 朴근혜 전 대표 독주체제에 제2, 제3의 물결이 일고 있는 시점에서, 朴 전 대표가 특사로 유럽에 나가 있는 동안 李 대통령은 대선후보급인 鄭운찬을 내각의 사령탑으로 내정하였었고, 역시 대권을 노리는 鄭몽준 한나라당 대표 체제가 출범하였기에, 현 여권의 양대 주주이면서도 팽팽한 긴장과 대립 관계를 그동안 유지하여온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가 만나는 것이기에 초미의 관심사인 것이나, 청와대와 朴 전 대표 측은 이번 만남에 대하여 매우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 두 사람의 독대가 성사될지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므로 독대 시간을 만들 것인지, 또 독대를 할 경우 어떤 의제를 놓고 어떤 수준에서 대화를 나눌 것인지 등에 대하여 양측은 그런 얘기가 오간 적이 없다며 말을 아끼는 모습들이다.
또한 현 정부 출범 후 두 사람의 공개적인 단독 회동은 두 번이나 있었지만, 이 회동이 두 사람의 관계를 개선하는 데는 별 도움이 되지 않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래 들어 疏通과 和合의 中心 역할을 자임하며 광폭행보를 보이고 있는 李 대통령은, 현 정부에 강도 높은 비판의 목소리를 그간 내어온 鄭운찬을 국무총리로 내정하는 등 포용의 모습을 보이고 있기에, 이번 두 사람 간에 좀 더 깊은 대화가 오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는 것은, 생각하기에 정치권에서는 疏通과 和合 및 包容의 실상의 끝은 朴 전 대표와의 관계 개선이라는 데 있기 때문이란 것이 대체적인 시각이다.
또 한편 朴 전 대표가 정치개혁에 관심이 높기에 政治 upgrade를 위한 방안을 놓고 대화를 나누며, 상호 이해의 폭을 넓히는 모습을 보일 수 있는 것이기에. 李 대통령으로서는 이런 노력을 통하여 대선후보군을 적절히 관리하며 국정 장악력을 높일 수도 있다는 생각 때문에, 더 적극적으로 朴 전 대표에게 국정동참을 요청할 것이라는 예견이 나오는 이유라 하겠다.
그러기에 朴 전 대표 측 일각에서도 국정운영에 지나친 소극적인 태도로 비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으며, 또한 최근 들어 朴 전 대표를 포위하는 듯한 권력의 흐름을 공세적으로 적극 대처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렇더라도 朴 전 대표가 재.보궐선거 공천 등 구체적인 黨內 현안에 먼저 말을 할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정국의 큰 틀에 대한 話頭를 던지며 전략적 대응을 할 것이라는 예관측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李 대통령은 이번에 차기 구도의 단초를 국민들에게 선보임으로 여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연이은 독대를 통하여 자신의 정치력을 과시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기에, 李 대통령이 여권 소통의 중심에 서게 될 것이며 親李-親朴의 경계를 뛰어넘어 앞으로 여권을 이끌 인사들과 얽매이지 않는 대화를 하여 나갈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기에 李 대통령이 의도하였던 의도하지 않았든 간, 李 대통령으로서는 근래 행보가 그동안 강조하여 왔던 和合과 疏通을 실천하는 image를 만들고 政治力까지 보여 줄 수 있기 때문에 一石二鳥의 모양새를 가 아닐 수 없다는 것이다.
생각하기에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의 이번 회동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는 미지수일지라도, 양측 간에 高次元의 高空戰이 시작된 것은 분명한 것이며, 바야흐로 정치의 계절이 왔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 같아 보인다. (원문, everkorea.net)
|
'정치.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與野 재보선 공천, 내부 분열로 고심한다. (0) | 2009.09.17 |
---|---|
10월 재보선, 정권 심판의 장(場)으로. (0) | 2009.09.16 |
사람은 죽을 때도, 알 것은 알아야. (0) | 2009.09.14 |
朴근혜 외면 속, 10월 재보선 큰판 된다. (0) | 2009.09.13 |
재벌출신 鄭 대표, 서민 애환 알 수 있나. (0) | 2009.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