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시사.

朴 행적 감시 의혹에, 親朴 뒷조사說 이라니.

碧 珍(日德 靑竹) 2010. 2. 25. 11:48

朴 행적 감시 의혹에, 親朴 뒷조사說 이라니.

 

            - 與 주류, 세종시 先절충 後당론변경투표 관철 -

 

 

한나라당은 23일에도 세종시 2차 의총에서 親李-親朴양계는 세종시 수정 공방과 함께 朴근혜 전 대표의 대통령 면담 거부 및 여의도연구소장인 진수희 의원의 朴 전 대표에 대한 막말 논란과 李재오의 의총 개입설 등 인화성 짙은 쟁점을 둘러싸고 설전으로 23일에도 하루 내내 시끄러웠다. 즉 양측 의원들은‘표적 사정설’등의 예민한 쟁점을 거론하는 등 장외에서도 날선 공방을 이어갔는데, 의총이라는 대면 공간을 통하여 양측의 대치가 가열되면서 점차 감정 섞인 비난 전과 흠집 내기 및 폭로 전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특히 세종시 논란을 둘러싼 黨內 親李계와 親朴의 갈등이 親朴계 의원들에 대하여‘뒷조사’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즉 親朴 측은 국민들의 생각이 세종시 논의를 건전하고 생산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적전분열이고 피곤할 뿐이라고 생각하므로, 세종시 논의 중단을 촉구하면서 이런 논의를 계속하면 당이 쪼개어 진다고 하였다.

 

22일 親朴계 중진 洪사덕 의원이 세종시 수정안을 반대하는 親朴계 의원들에 대하여 정부의 표적사정 의혹을 제기한 데 이어, 23일 親朴계 李성헌 의원이 朴근혜 전 대표에 대한 정보기관들의 감시 의혹을 제기하므로 그 파장이 커질 것으로 예견되고 있다.

 

즉 李 의원은 지난 2009년 朴 전 대표에게 어느 종파의 중진 스님을 소개하여 같이 식사를 한 적이 있는데, 며칠 뒤 그 스님으로부터 항의전화를 받았다면서, 朴 전 대표를 만났다는 사실을 왜 정부 기관에 말했느냐는 이야기였다고 말했으며, 이어 저는 사실 그런 얘기를 한 적이 없다면서, 어떻게 해서 그 정부 기관에서 朴 전 대표가 스님들하고 얘기한 것을 알았으며, 또 찾아가서 꼬치꼬치 캐묻게 된 것에 대하여 말이 되느냐 하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고 감시 의혹을 제기하기도 하였으며, 또 그는 최근 여러 의원이 그런 걸 즉 뒷조사를 느끼고 있다며 논란의 불씨를 키웠다.

 

그러기에 李성헌 의원은 이 사례가 洪사덕 의원이 말한 것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사안이 아닐 수 있지만, 이런 식으로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면서, 일부 상황 판단을 잘못하고 있는 과잉 충성하는 사람들에 의하여서 저질러진 일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문제는 사실이던 아니던 정보기관과 사정기관 안팎에선 지방선거를 앞두고 親朴 의원 및 地方自治團體長에 대한 사정설이 나돌고 있는 가운데, 특히 검찰이 현재 전국적으로 수사를 벌이는 군납비리 및 지방자치단체의 토착비리 수사가, 결국 親朴계를 겨냥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음모론도 나돌고 있다고 하며, 李 의원은 親朴-親李를 떠나서 이런 얘기들이 나오면 누가 수정안에 반대하는지 다 나오는 마당에 의원들이 얼마나 움츠러들겠느냐고 비판하고 있다.

그러자 靑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을 통하여, 洪 의원의 주장은 근거 없는 정치공세로 사실무근이라며, 이미 세종시 문제는 정쟁적 사안이 아니라 정책 사안임을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며, 무책임한 정치공세에 대하여서는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말하며, 특히 청와대는 朴 전 대표 뒷조사 설에 대해서도 고려할 가치가 없는 정치적 술수라고 일축하면서 터무니없는 정치공세라고 반박하고, 與권 主流는 親朴계가 구태의연한 정치공세까지 펴고 있다며 불쾌해하는 가운데,‘朴근혜를 사랑하는 모임’에서는 朴 전 대표의 미행은 대통령이 하야할 문제란 논평을 내기도 하였다.

 

安 원내대표가 날 의총을 공개하겠다고 하자, 일부 親李계 의원이 비공개를 주장하는 등 시작부터 분위기가 심상치 않았는데, 朴 전 대표의 비서실장 격인 유정복 의원은 李명박 대통령의 면담 제의를 朴 전 대표가 거절했다는 鄭몽준 대표의 전날 의총 발언을 문제 삼았는데, 그는 회동 무산 과정을 설명한 뒤에 鄭 대표가 사실관계에 대하여 정확히 확인하지 않고 말한 것인데 무슨 다른 의도가 있으셨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당 대표로서 사실관계가 아닌 얘기로 당이 분열되고 싸우는 듯한 일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해명이 있어야 한다고 비판하자 鄭 대표는 굳은 표정으로 변명을 하였다.

 

親朴계인 趙원진 의원은 막말 논란에 휩싸인 親李계 진수희 의원을 겨냥하여, 당 대표를 지냈던 분한데 일반 국민이아 초등학생들도 쓰지 않는 욕을 쓰는 것은 잘못됐다면서, 해명하고 소장직을 사퇴하는 게 맞다고 재차 공격을 하였으며, 親朴계인 李성헌 의원은 李재오 권익위원장이 중립지대 의원들에게 수정안에 찬성하라고 전화했다는 얘기를 보도를 통해 봤다면서, 공포분위기를 몰아가서 강제당론이 결정되면 어떤 효과가 있겠나하고 말했다.

 

반면 親李계인 權성동 의원은 李재오의 개입설에 대하여서는 전직 의원이 의원들에게 전화할 수 있는데, 당 밖의 인사를 끌어들여 정치 공세를 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반박하였고, 李은재 의원은 수정안과 절충안은 무조건 반대하고 원안이 옳다고 하는 것은 자기만의 원칙과 신뢰를 말하는, 벌거벗은 임금님의 오만이 아니고 무엇이냐고 朴 전 대표를 직공하기도 하였다.

 

한편 24일 親李 李윤성 국회부의장은 정부 세종시특별법 개정안의 제출 시기와 관련하여, 즉 그는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세종시 토론회가 끝날 때까지, 어떤 결말이든 의견이 종합될 때까지 보류해야 한다며, 이렇게 격렬한 토론이 벌어지고 어떻게든 수습하려고 국회가 애를 쓰고 있는데 정부가 `입법예고 기간이 끝났으니, 4월 국회를 위해서는 넉넉잡아 3월초에는 넘겨야 하지 않느냐고 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안일하고, 어떻게 보면 독단적이고 일방적인 생각이라면서 못마땅하다고 비판하였다.

 

또 한편 李 부의장은 세종시 토론을 위한 당내 추가 채널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일각에서 제기되는 중진회의 설치에 대하여, 중진의 범위를 12-15명만 계산하지 말고 親李-親朴-中立으로 생각하지 말고 그 대상을 넓혀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달라고 건의했다.

 

다른 한편으로 黨內 親李 주류 내부에서 기존 세종시 수정안으로의 당론변경 방침에서 절충안 모색 쪽으로 기류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데, 親李계의 기류 변화는 지난 이틀간 세종시 끝장토론을 통하여 양측이 치열한 공방을 펼치며 각자의 입장을 각인시킨 만큼, 어떻게든 세종시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親李 주류는 오는 26일까지 예정된 세종시 의총에서 토론을 벌인 뒤에 親朴측과의 타협에 나서되, 실패할 경우 예고한 대로 당론변경을 위한 찬반투표 절차를 밟는 Two-track 전략을 세워놓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에 親朴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李 대통령이 취임 2주년인 25일 靑와대에서 黨 지도부와 오찬 간담회를 열 예정인데, 이 자리에서는 정국의 뇌관인 세종시 문제에 대한 여권 수뇌부간 의견조율이 있을 것으로 보여 주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黨 非主流인 親朴 측은 세종시 의총이 소모적이고 감정싸움까지 겹치기에 더 이상의 토론은 의미가 없다는데 동의하면서 절충안 마련에는 부정적 입장이다.

 

親朴인 玄기환 의원은 靑와대나 黨 지도부가 지금까지 의총에서 나온 의견들을 토대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무리한 표결 시도나 강제적 당론은 당을 엄청난 분열사태로 몰아갈 수 있으니 자제해야 한다고 했으며, 親朴계 일각에서는 親李계가 굳이 세종시 수정안을 고집할 경우 국회로 법안을 넘겨, 상임위와 본회의에서 처리하는 수순을 밟고 부결될 경우 원안 추진에 나서야 한다는 절차론도 나오고 있다.

 

이처럼 親李-親朴 간 첨예한 입장차 속에 중립 지대에 위치한 의원들은 당의 분열 상황을 심각하게 우려하으며, 또한 中立 성향의 首都圈 의원은 지난 이틀간 토론을 보면서 계파 간 불신이 생각보다 훨씬 깊다는 생각이 들었고, 단기간 내 불신 해소가 어렵다는 점을 느꼈다면서 "멸을 막기 위하여 양측이 조금씩 양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한편 당 지도부는 당 상임고문단을 초청한 자리에서도 당 원로들은 국회 표결 처리 등으로 세종시 문제를 빨리 끝내야 한다는 의견과, 수정안 국회통과는 불가능하므로 원안 중심으로 출구를 만들어야 한다 는 등 엇갈리는 의견을 내놓았었다.

 

생각하기에 經濟-民生 문제에 전념하고 地方선거도 준비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세종시가 국정의 모든 것인 모양으로, 당이 매달려 있을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며 이제 세종시 문제를 조속히 매듭지어야 할 때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