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경제. 시사.

北韓의 모욕 언제까지 참아야 하는가.

碧 珍(日德 靑竹) 2019. 6. 29. 19:20

 

 

北韓의 모욕 언제까지 참아야 하는가.

     - 北韓 일개 局長이 대통령을 모욕하는 것은 이용가치 없다는 것인가.

 

 

 

지난 6월 27일 北韓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權정근 북한 외무성 미국 국장 명의로 나온 담화에서朝.美 관계를 중재하는 듯이 여론화하면서 몸값을 올려보려 하는 남조선 당국자들에게도 한마디 하고 싶다며,朝.美 대화의 당사자는 말 그대로 우리와 미국이며, 朝.美 적대관계의 발생 근원으로 보아도 남조선 당국이 참견할 문제가 전혀 아니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北韓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앞두고 한국을 향해 北.美 관계에서 빠지라고 요구한 것이며, 南北 접촉에 나섰던 청와대와 정부의 대북 line에 대해 빈정거린 셈이다.

 

담화는 이어朝.美 관계는 우리 국무위원회 위원장 동지와 미국 대통령 사이의 친분 관계에 기초하여 나가고 있다며,우리가 미국에 연락할 것이 있으면 朝.美 사이에 이미 전부터 가동되고 있는 연락 통로를 이용하면 되는 것이고, 협상을 해도 朝.美가 직접 마주 앉아 하게 되는 것인 만큼 남조선 당국을 통하는 일은 절대로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남조선 당국자들이 지금 北南사이에도 그 무슨 다양한 교류와 물밑 대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처럼 광고하고 있는데, 그런 것은 하나도 없다며,남조선 당국은 제집의 일이나 똑바로 챙기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비난하였었다고 도하 각 신문 등 언론은 지난 6월 27일 보도하고 있다.

 

이는 지난 6월 26일에도 文재인 대통령이 내비친美.北 중재 역할구상을 北韓의 일개 국장급이 대놓고 부정한 것이라 말문이 막힌다.

 

文재인 대통령은 인터뷰에서남북 대화가 다양한 경로로 이뤄지고 있다고 하였는데, 이에 北韓 국장은남조선 당국자들이 다양한 (남북)교류와 물밑 대화가 진행되는 것처럼 광고하는데 그런 것은 하나도 없다고 하므로, 사실상 文재인 대통령을 지목해 거짓말 말라고 한 것이나 다름없이 들린다. 그러면서남조선 당국은 제 집 일이나 똑바로 챙기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하였다니 이런 기가 막히는 일이 있을 수가 있는가 한다.

 

되돌아보면 지난 4월 문재인 대통령이 워싱턴까지 날아가 3분짜리 단독 회담을 했다는 수모를 겪어가며굿 이너프 딜(good enough deal.충분히 괜찮은 거래)이라는 생소한 중재안을 전달한 다음날, 북한 金정은은오지랖 넓은 중재자 행세를 그만하고 민족의 이익을 위한 당사자가 되라고 하였었다.

 

이에 文재인 대통령은오지랖이란 모욕적 표현은 못 들은 척하며한반도 평화 구축에 대한 변함없는 의지를 높이 평가한다고 어이없는 해석을 내어 놓았었다, 아무튼김정은 쇼에 대한 미련이 도를 넘은 처사이었다.

 

또 지난 6월 27일 北韓 선전 도구인우리민족끼리는 文 대통령의 연설까지 직접 겨냥하여, 文 대통령이 스웨덴에서북은 핵 폐기 의지를 실질적으로 보여줘야 한다고 촉구한 것을 겨냥하여어처구니없다’‘경악 금치 못한다’‘생억지라고 비난하면서궤변’‘낭설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文 대통령이 하루 전 文 대통령이 외신 회견에서김정은의 비핵화 의지를 믿는다고 하였는데 대하여 이런 답이 돌아왔다는 것이다.

 

北韓이 이러는 것은 文재인 대통령에게 美國과 갈라서서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라는 압박으로, 그걸 못한다면 이제 이용 가치가 없으니 차버리겠다는 것 아닌가 하며, 이는 北韓이 차버리면 무엇으로 내 2020년 총선을 치르겠느냐고 위협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아니나 다를까 이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을 재개할 수 있을 것처럼 말하기 시작하였었는데 이는 南北 Show 없이 총선을 치르기 힘들기 때문일 것이다. 아무튼 만에 하나 이 유혹에 넘어가 북한 의도에 말려들면 우리 은행과 기업이 제재를 당하는 초유의 사태를 맞게 될 것도 예상할 수가 있다.

 

아무튼 지난 6월 27일 權정근 北韓 외무성 미국 담당 국장은대화의 당사자는 우리와 미국이라며, 협상도 南漢을 통하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므로 北韓이 北.美 대화에‘조선은 참견 말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는 그간 非核化 한다며 南北관계 개선에만 매달리던 文재인 정부의 체면은 말이 아니게 된 모양새가 되어버렸다.

 

생각하건데 담화는 성명보다는 약하지만 북한이 공식 입장을 밝히는 방식이기에, 따라서 이날 담화는 향후 北.美 대화와 南北관계에 대한 北韓 당국의 입장 정리로도 간주할 수 있다. 이번 北韓의 담화는 지난 6월 20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北.中 정상회담을 통해 시 주석이 北.美 협상의 중재자로 등장한 뒤 발표한 담화로, 따라서 北韓이 韓國을 징검다리로 삼아 워싱턴을 바라보던 기존 전략을 버리고, 직접 美國과 통하거나 아니면 中國의 도움을 받겠다는 예고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으며, 또 일각에선 文재인 대통령이 6월 26일 국내외 통신사와의 서면 인터뷰에서 내놓은 北.美 비핵화 중재안을 놓고 불만을 표시했다는 해석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