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朴, 갈등 증폭 될 듯하다.
- 朴 전 대표, 세종시 끝장 보겠다는 생각 -
- 대통령과 직접충돌 감수, 수정안 불가 쐐기 -

朴근혜 전 대표가 10일 李 대통령의‘강도론과 일 잘하는 사람 밀고 싶다’는 발언에 대하여, 정면으로 반박하는 등 세종시를 둘러싼 여권 내부 갈등이 최고조로 증폭되고 있다. 李 대통령의 발언에 대하여서도‘일 잘하는 사람이 누군지는 국민이 판단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이에 대하여 11일 청와대는 朴근혜 전 대표가 李 대통령의 이른바‘강도론’발언 등을 자신을 겨냥한 것으로 해석하고, 비판한 데 대하여 해명과 사과를 공식 요구했으며, 또 朴 전 대표 측을 겨냥하여 최소한 대통령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야 하는 것 아니냐고도 덧붙여 하였다.
정치권에서는‘강도론’발언의 진의와는 관계없이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의 갈등이, 항간의 말들처럼 어느 정도로 불통 상태에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처럼 향후로 더 커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으며, 양측이 해명과 진화에 나섰지만 親李계와 親朴계 의원들은 서로 너무 심한 발언을 하고 있다고 서로 공격하는 상황이다.
즉 親朴계에서는 李 대통령이 대권과 관련하여 어떤 방식으로든 견제에 나섰다는 판단이 든다면 朴 전 대표도 참기 어렵지 않겠느냐며, 다만 李 대통령이 후계구도에 관여할 의도가 있더라도 시기적으로 지금은 이르다는 것이 대체적인 여권의 판단일 것이라고 하는 반면, 親李계에서는 朴 전 대표가 대통령 발언의 진의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성급하게 대통령을 정조준 한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며, 이러면서 서로 정치와 당을 함께한다고 할 수 있느냐고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건으로 당장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가 정치적으로 갈라설 가능성은 낮다는 견해가 우세하지만, 강도론 공방은 세종시 해법에 상당한 장애가 될 것으로 보이며, 현 상황으로는 더 어려워지게 되리라 생각한다.
한편 朴근혜 전 대표는 11일 李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이 자신에게 李 대통령의 `강도론' 언급을 반박한 데 대하여 사과를 요구한 것과 관련하여, 李 수석의 발언을 전하여 듣고‘그 말이 문제가 있으면 문제가 있는 대로 처리하면 될 것 아니냐’고 대변인격인 李정현 의원이 전하면서, 이어 `강도론'에 대하여 청와대가 朴 전 대표를 겨냥한 게 아니라고 말했다는데, 朴 전 대표 또한 대통령을 포함하여 특정인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고 말씀드리지 않았느냐고 반문하면서, 청와대가 사과를 요구한 데 대하여서는 우리가 사과할 일을 했느냐고 반박하였었다.
그러자 익명을 요구한 한 親朴의원은 기자들도 강도론 발언이 朴 전 대표를 겨냥했다고 해석하니까 그렇게 질문한 것 아니겠느냐면서, 청와대 수석이 국민의 눈과 귀를 대신하는 언론인들에게 똑바로 쓰라고 하고 막말을 하고 신문을 던졌다고 하는데, 黨內 중진에게 이런 식으로 함부로 해도 되는 것이냐고 비판하였으며, 또 다른 親朴 의원도 이는 결국 세종시 문제가 정책적 사안이 아니라 정치적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청와대 뜻이 분명하게 된 만큼 우리도 이번 사안에 대하여 깊게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각하건데 청와대의 사과 요구는 전날 朴 전 대표의 발언에 대하여 뭔가 크게 오해한 것 같다며 확전을 경계하던 것과는 확연히 달라진 것으로, 李 대통령의 진의가 곡해되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확한 사실관계를 짚고 넘어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李 수석은 이번 사태를 失言 파문이라고 규정한 뒤에, 언론 보도에 대하여서도 솔직히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유감의 뜻을 밝히면서, 특히 李 대통령의 발언이 왜 朴 의원을 겨냥한 것이냐며, 지금 경선 하는 것이냐고 반문한 뒤에 언론이 정확하게 전후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해 달라고 요청하기도 하였었다.
朴근혜 전 대표가 10일 李 대통령의‘일꾼론과 강도론’발언에 대하여 민감한 표현을 쓰며 강하게 맞받아치므로, 李 대통령을 겨냥하여 초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즉 세종시 문제로 그간 朴 전 대표는 李 대통령과 鄭운찬 총리 및 鄭몽준 당 대표 등과 대립각을 세운 적이 있지만, 이번처럼 대통령과 정면충돌한 적은 없었기 때문에 朴 전 대표가 초강수를 둔 배경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또 李 대통령이 지난 대선후보 경선 당시 朴 전 대표 진영을 겨냥하여 거론했던 강도론을, 다시 꺼내자 불편한 심정을 갖게 된 것이라는 해석도 있으며,‘신뢰와 약속’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하기 위하여 李 대통령 발언을 반박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즉 李 대통령과 朴 전 대표의 충돌에 대하여 현재권력과 유력한 미래권력 간의 힘겨루기라는 해석도 있으나, 이 같은 시각에 대하여는 벌써 대선 정국이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은 것이다.
이와 함께 親朴계의 결속 다지기 차원에서 볼 수도 있는데, 즉 실제 朴 전 대표는 4일에 이어 8일에도 親朴계 의원 6,7명과 오찬을 함께 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朴 전 대표는 이날 정치를 50년, 100년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며, 국가의 미래를 위해 신념을 가져야 한다고 원안 고수 입장을 다시 강조한 것으로 전하여지고 있다.
생각하기에 이번처럼 대통령과 정면충돌한 적은 없었기 때문에 朴근혜 전 대표의 세종시 등 초강경 발언 배경은,세종시에 대한 親李계의 설 여론몰이 제동과 親朴계의 결속 등 다중포석으로 볼 수 있다
생각하건데 청와대가 정면대응으로 기조를 전환한 것은 세종시 수정 문제가 교착상태에 빠져있는 가운데, 설 연휴를 앞두고 나온 朴 전 대표의 강경한 입장 표명이 마치 李 대통령의 잘못된 발언 때문인 것처럼 오해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인 것과, 당초 여권 주류는 이번 설 연휴를 기점으로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찬성 여론이 높아질 수 있는 전환점을 맞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런 상황에서 충청권 등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朴 전 대표가 다시 정국의 중심에 등장하면서 이른바 朴근혜 효과로 인한 여론의 악화를 우려한 것으로도 보인다. 그래서 청와대는 이번 논란을 계기로 朴 전 대표의 원안 고수 주장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설 것으로도 예측할 수 있다.
그런데 朴 전 대표가 이번 공격적인 말을 한 것과 관련하여 黨에서는 청와대에 대하여 그간 쌓였던 감정이 폭발한 것 같다는 분석이 나오며, 또한 朴 전 대표 측은 세종시 계획을 수정하려는 李 대통령과 與권 主流에 대하여 정치적 의도가 있는 걸로 받아들이고 있는 한편, 朴 전 대표는 최근 세종시 문제에 대하여 끝장을 보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도 보이며, 그런 상황에서 강도론이 나오자 작심하고 말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으며, 이에 朴 전 대표가 강공으로 나오자 청와대는 곤혹스러워하는 모습이 역력하다.